반응형
고양이의 청각은 어둠 속에서 사냥감의 움직임을 포착하기에 매우 적합하게 발달한 감각 기관이지만, 노화가 진행될수록 기능이 약해집니다. 이와 관련하여 고양이 청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양이의 청력
- 고양이의 청각은 오감 중에서 가장 뛰어나며 사람은 물론 개보다도 좋다고 합니다.
- 특히 고음역의 소리를 듣는 데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는데, 어둠 속에서 움직이는 사냥감을 청각으로 금방 알아차리며, 개미가 잔디밭을 기어가는 소리까지 들을 수 있다고 합니다.
- 고양이가 고음역의 소리를 잘 듣는 이유는 여러 가지 설이 제기되고 있는데, 그중 가장 흔한 사냥감인 쥐의 울음소리가 높은음이기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아무래도 신빙성이 높습니다.
- 주인이 불러도 아무 반응을 보이지 않으면 주인의 목소리를 듣지 못한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들겠지만, 주인의 목소리를 정확히 듣고도 모른 척하는 것뿐입니다.
- 하지만 노화로 청각 기능이 약해진 늙은 고양이는 사람의 목소리조차 제대로 듣지 못할 수 있습니다.
- 고양이는 감각기관 중 귀가 가장 발달하였는데, 이어서 코, 눈 순으로 기능이 좋으며, 이것은 어둠 속에서도 생활할 수 있도록 진화를 거듭했기 때문입니다.
- 고양이의 가청 범위는 40~6만 5천 헤르츠이고, 사람의 가청 범위는 20~2만 헤르츠인데, 고양이는 사람에 비해 고음역의 소리를 잘 듣는 반면 저음역의 소리는 잘 듣지 못합니다.
- 고양이는 이따금 아무것도 없는 텅 빈 곳을 가만히 바라볼 때가 있는데, 이때 사람에게 들리지 않는 벌레 소리나 작은 동물이 꿈틀대는 소리를 귀 기울여 듣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이상으로 고양이 청력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개보다 좋은 청력을 가졌다는 것이 상당히 의외이긴 합니다. 반려묘를 키우고 계신다면 키우는 고양이가 본인의 말에 반응을 하지 않는 것이 노화 때문인지, 귀찮아서 인지 파악해야 할 듯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좌측 하단의 '♡'좋아요 한번 눌러주시고, 필요하신 분들께 공유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08.29 - [고양이정보] - 고양이 눈 및 눈곱 그리고 눈물로 파악하는 몸 상태
반응형
'고양이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콧물 및 코 축축한 이유 (0) | 2022.09.01 |
---|---|
고양이 냄새 맡는 이유 (0) | 2022.08.31 |
고양이 눈 및 눈곱 그리고 눈물로 파악하는 몸 상태 (0) | 2022.08.29 |
고양이 눈 특징 및 색깔 (0) | 2022.08.28 |
고양이벼룩과 집안 벼룩 없애는 방법 (0) | 2022.02.27 |
댓글